본문 바로가기

COA Lab's Coding Tips

카카오 지도API 연결하기

지도API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곳은 구글, 네이버, 카카오가 있다. 

각 회사마다 사용정책이 다르니, 확인이 필수이다. 

카카오 지도 API를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1. apikey를 발급받아야 한다. 

이를 위해 '카카오개발자'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카카오 로그인을 한다. 

developers.kakao.com/

 

Kakao Developers

카카오 API를 활용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해보세요. 카카오 로그인, 메시지 보내기, 친구 API, 인공지능 API 등을 제공합니다.

developers.kakao.com

2. 로그인 한 다음 [내 애플리케이션] 메뉴에 들어가 [애플리케이션 추가하기] 버튼을 누르고, 정보를 입력하면, 각 플랫폼 별로 다른 app key를 확인 할 수 있다. 

 

3. 웹용문서에 서비스할 예정이므로, 이 중에서 Javascript 키를 복사 해서 메모장에 붙여둔다. 

4. 다시 메인페이지로 돌아와서, 우측 상단의 메뉴를 클릭하여 [Maps API]를 선택하고, 개발할 플랫폼을 선택하는데 여기서는 웹용을 중심으로 시연하려고 한다. 따라서, [web]을 클릭한다. 

 

5. 좌측의 위자드 메뉴를 클릭하면 우측에 코드샘플이 나오는데,

위자드에서도, 지도옵션의 [마우스드래그, 마우스 휠로 확대/축소허용]을 선택하고, 하단의 [마커]탭의 [인포윈도우 추가]를 클릭하여 선택해 두면, 

우측의 코드샘플 내용에 각 객체가 추가 되어 나온다. 

이 코드를 전부 복사해서 문서편집기로 가져가서 붙여 넣는다. 

 

6. html문서에 와서, 메모장에 붙여둔 app key를 붙여넣고, appkey를 붙여넣고, 주소 앞에 https:를 작성한다음 저장한다. 

7. 구글맵에 들어가서, 위치를 검색한 다음, 빨간색 마커가 나오면, 마커 위에서 우클릭한다. 

이렇게 하면, 위도 경도 정보값이 나오는데 이 값을 클릭하여 복사한다.

8. 다시 html문서로 돌아가서 mapOption의 값에 복사해 둔 값으로 붙여넣기 하여 위치를 변경한다. 

9. 지도에 마커를 생성하고, 인포윈도우를 생성하는 코드에도 좌표값을 붙여넣고, 

   인포윈도우의 내용도 <div>안의 텍스트를 변경해 표시값의 정보를 제공한다. 

10. 브라우저에서 확인하면, 아래와 같이 지도가 나오고, 마커와 인포윈도우가 생성되어 표시 된 것을 볼 수 있다. 

 

 

11. 이 외에도, 카카오개발자 홈페이지의 Kakao Maps API 메뉴에는 다양한 api 제공 컨텐츠가 있으니 필요한 지도서비스를 활용하여 적용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