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시속성을 활용한 서브메뉴
앞서 살펴 본 가시 속성을 활용해서, 메인메뉴에 마우스를 올리면, 서브메뉴가 나오고 메인메뉴와 서브메뉴에서 마우스를 떠나면, 서브메뉴가 사라지도록 함 주요 개념 : 공간의 크기속성 height:0 --> height:auto 가시 속성 : opacity:0 과 overflow:hidden --> opacity :1, ※ 주의할 점 : .sub_menu에 가시속성 중 opacity를 0으로 적용했다가, #main_menu>li에 hover하면, opacity:1로 나타나게 함. 여기에 height:0으로 적용해서, 아예 공간의 크기도 없애 버리는데, .sub_menu의 하위요소인 li가 블록속성 공간을 차지 하므로, .sub_menu에 height:0을 주더라도, 자식인 li는 공간이 남아 있게 됨. 따라..
더보기
transform, transition 속성
※ transform 속성의 의미 : css코드로 요소를 변형하는 속성이다. 속성 속성값 속성값사용 설명 transform translate translate(50px,40px) x,y 축으로 위치 이동 translateZ translateZ(-300px) z축으로 위치 이동, 원근감이 생기므로 부모요소에 perspective와 함께 작성 rotate rotate(-30deg) 시계방향(+),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scaleX scaleX(1.5) 가로축의 비율 scaleY scaleY(0.7) 세로축의 비율 skewX skewX(-30deg) X축으로 기울기 skewY skewY(-15deg) Y축으로 기울기 matrix matrix(.4,1,0,1,20,40) scaleX, scaleY, skew..
더보기
position 속성 1, z-index
※position 특징 위치를 정해주는 방법 중 하나로, 조상(부모)와 자식간의 관계에 의한 위치속성이다. 속성 속성명 설명 position static 기본값 absolute 부모나, 조상요소에 대해 위치값을 부여받는다. 위치지정속성인 top, left, right, bottom의 값을 함께 적는다. fixed 브라우저에 대해 절대 위치값을 갖게 된다. 위치지정속성인 top, left, right, bottom의 값을 함께 적는다. relative 코딩의 흐름에서 자신이 갖는 위치가 기본값이며, 이를 바꾸고 싶을 때는 "left:20px" 처럼 값을 더 부여한다. 그러면 원래 자기의 위치에서 좌측으로 20px 들어가서 위치한다. -----------------------------------------..
더보기
float속성 1
박스는 크기와 위치를 가지고 있다. 1. 크기 : width, height, padding, border, margin 2. 위치 : float, position 여기서는 위치를 정리할 때 많이 쓰던(현재도 포함) float을 이해하도록 한다. 속성명 속성값 설명 float none 기본값 left 요소가 좌측으로 온다. right 요소가 우측으로 온다. div나, li, h태그처럼 display : block 의 속성을 가지고 있는 태그에 float : left 혹은 right를 주게 되면, div나, li, h태그처럼 display : block 의 속성을 가지고 있는 태그들도 width, height의 크기만큼만 자기 크기로 갖게 된다. display : block 의 속성의 성격인 [행 전체]를 ..
더보기
블록요소 속성 - 공간의 크기와 box-sizing
일반적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박스모델의 공간을 차지하는 속성은 : width, height, padding, border, margin 이 있다. widht, height는 박스의 폭과 높이를 말하고, padding은 안쪽 여백, border는 박스의 테두리, margin은 박스의 바깥 여백을 말한다. 박스의 크기가 width, hegiht만큼만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margin의 경우 상하 겹침이 있을 경우, 한번만 적용된다. padding이 적용된 경우, 텍스트를 작성하면, 하단에는 텍스트가 나타난다. box-sizing:border-box를 적용하면 공간의 크기에서 padding, border의 크기가 반영되지 않는다. 위의 그림을 보면 알수 있듯이, 기본 width, height 공간을 차지하는 ..
더보기
background 속성 7 - image sprite
배경에 이미지를 넣을 때, 하나의 이미지 안에 여러개의 이미지를 만들어 넣어 background-position으로 배경이미지를 보이도록 해주는 기법으로, 브라우저에 웹페이지를 로딩할 때 속도를 줄여주기 위해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다. 이미지의 좌측 상단이 기준점(0,0) 이므로, 기준점으로 위치를 이동시켜주는 식으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상단으로 가져오게 되면, 이미지의 위쪽 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하므로, 음수(-)방향으로 좌표의 거리만큼 이동시키고 이미지의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하므로, 음수(-)방향으로 좌표의 거리만큼 이동시킨다. 네이버의 경우 로고를 배경이미지로 사용하려면, 많은 이미지가 있는 .png파일에서 로고의 위치를 찾아 이미지의 (0,0) 좌표까지의 거리를 재서, 음수방향으로 보내서 로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