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형 컴포넌트 : props, api, hook(상태관리) 모두 다루는 방법이 다름
1. 컴포넌트를 정의하고, return(...);안에 jsx로 태그를 작성한다. 
const WrapComponent = ()=>{
    return(
        <div id="wrap">
            <HeaderComponent />
            <MainComponent />
            <FooterComponent />
            <PopupComponent />
        </div>
    );
}
const HeaderComponent = () => {...}
const MainComponent = () => {...}
const Section1Component = () => {...}
const Section2Component = () => {...}
const FooterComponent = () => {...}
const PopupComponent = () => {...}
2. 리액트 돔을 연동한다. 
ReactDOM.render(
    <WrapComponent />,
    document.getElementById('root')
);
이렇게 작성하는 방법을 함수형 컴포넌트라 한다.
const componentName = () => {} 형식으로 정의한다.
tip] 코드를 자동으로 하게 하는 방법
vsCode에 extention에 react extention pack을 검색하여 설치한다.
클래스형컴포넌트 : rcc + 엔터
함수형컴포넌트 : rsc + 엔터
자동완성된것중 import와 export만 지우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