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의 식별자 : 변수, 함수, 속성, 메서드가 있다.
[개념]
변수 : 변수의 규칙을 이전 문서 참고, 변수는 메모리에 값이 들어올 공간을 준비 하는 것. 변수에는 모든 자료형이 들어 갈 수 있다.
속성 => 객체.속성 = 값; 으로 표현한다.
함수 : 실행문의 집합체()들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실행문을 넣는다.
메서드 => 객체.메서드() 으로 표현한다. 객체가 가지고 있는 함수라고 보면 된다.
[자료형의 종류]
자료형 : 숫자, 문자, boolean, undefined, object, function();
[연산자의 종류]
-산술연산자 : + 연결, / 몫, % 나머지
-대입연산자 : A=B : A에 B를 대입(할당)한다.
-비교연산자 : true/false를 반환
-논리연산자 : &&(AND) ||(OR) !(NOT) : true/false를 반환
-삼항연산자 : 질문 ? true문 : false문;
//사칙연산자는 숫자가 우선순위를 갖는다.
alert('52*123');//문자
alert(52*123);//연산결과 6396
alert('52'*123);//연산결과 6396
alert(52*'123');//연산결과 6396
[typoof] : 데이터타입을 알아보는 키워드
자료형을 검사하는 내장함수로 typeof()를 제공한다.
Number(), String() 등으로 묶어서 자료형변환도 가능하다.
ex)
alert(true>false);
console.log('alert에 출력된 데이터 타입은 ' + typeof(true>false) + '입니다.');
let list ='';
list += '<ul>';
list += '<li>자바스크립트</li>';
list += '<li>변수 선언, 초기화, 값할당</li>';
list += '<li>자료형 : 숫자, 문자열, 불리언...</li>';
list += '<li>연산자 : 대입, 복합대입...</li>';
list += '</ul>';
document.body.innerHTML = list;
let number = 100;
console.log('number : ' + number);
number += 1; //복합대입
console.log('number : ' + number);
number += 1;
console.log('number : ' + number);
let number2 =100;
console.log('number2 : ' + ++number2);//증감연산
console.log('number2 : ' + ++number2);//증감연산
console.log('number2 : ' + ++number2);//증감연산
let number3 = 100;
console.log('number3 : ' + number3++);
console.log('number3 : ' + number3++);
console.log('number3 : ' + number3++);
//변수 특징
//1. 변수에는 하나만 담을수 있다.
let student = '이지혜';
student = '김현정';
student = '김유리';
student = '손지영';
student = '전준환';
console.log(student + "아 배고프다 밥먹자~!!");
let value = 10;
value += '20';
console.log('value 값은 : ' + value);
// typeof : 자료형이 무엇인지 알려줌
console.log(typeof(value));
console.log(typeof(student));
console.log(typeof('최해나'));
console.log(typeof(number3));
console.log(typeof(100));
console.log(typeof(true));
console.log(typeof(false));
console.log(typeof(-1.15455451122));
//자료형 : 숫자, 문자, boolean, undefined, funtion(){}, object
console.log(Boolean(0));
console.log(Boolean(NaN));
console.log(Boolean(''));
console.log(Boolean(undefined));
console.log(Boolean(null));
console.log(Boolean('0'));
console.log(Boolean('false'));
console.log(Boolean('' == false));
console.log('빈문자열은 0과 같나요? 아래 답변입니다.');
console.log(Boolean('' == 0));
console.log(Boolean(false == 0));
console.log(Boolean(123 === '123'));
// var number1, number2, number3, number4, number5;
'COA Lab's 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스크립트 5 - 연습문제 ( if | switch | 삼항연산자) (0) | 2021.02.26 |
---|---|
자바스크립트 4 -연산자 종류와 연습 (0) | 2021.02.26 |
브라우저 이슈 (0) | 2021.01.04 |
자바스크립트 2 - 변수선언 (0) | 2020.09.15 |
자바스크립트1-실행문 작성방법 (0) | 2020.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