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ALab's React 썸네일형 리스트형 2. 작성순서 & 기초문서 작성 0. 리액트 오픈소스 연결 1. DOM Container를 만들기(#root) 2. 3. 클래스형 컴포넌트 생성 - 웹제작에 필요한 섹션단위(영역)라고 생각하면 된다. - 예] 헤더, 메인, 섹션1, 섹션2..., 푸터 컴포넌트 등을 만들수 있다. - 클래스형 컴포넌트 생성 3-1. 클래스 네이밍 규칙 : 파스칼케이스 기법 3-2. extends로 확장/상속받는다. React.Component에서 상속 받는다. 4. render() 메소드를 만든다. 클래스 안에서 쓰는 ()는 모두 메소드. 4-1. return문에 의해서 태그들을 뿌려준다. 딱 하나만의 태그를 넣어야 함. 싱글!페이지 단위로 이동된다. 라우터가 이런 방식을 쓴다. 5. 리액트 돔 : component와 dom component를 연동 리.. 더보기 1. 리액트 진행 두가지 방식 1. 웹링크 - 곧바로 부분이든 전부이든 웹페이지 리액트 사용, 대규모 프로젝트엔 적합하지 않다. - 컴포넌트 생성(클래스형과 함수형 두가지), 템플릿 JSX를 다룬다. - 프롭스를 다룬다. props - 상태관리를 한다. statement - php, mysql 연동 (AXIOS로 연동) - 포트폴리오를 리액트로 제작한다. - 웹 호스팅에 배포 - 깃허브 배포 2. 앱제작 create-react-app : CRA / command line interface 또는module방식 - 웹방식에서 하는 모든 리액트 방식을 다 한다. - 상태관리 : 리덕스 - SPA : 라우터 - 배포는 웹배포와 다름. node.js환경에서 배포한다. - 따라서 깃허브에서 배포/ AWS / AZORE...(시간되면... 웹호스..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