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play 속성 2, 가시속성
가시속성에 해당하는 속성들을 보면, 다음과 같다. 아래 표에서 보듯이, display는 요소가 인라인인지 블록인지를 정하는 것 외에도, none이라는 요소를 안보이게 하는 속성값도 있다. 이 외에도, 안보이게 하는 속성으로 visibility, opacity, overflow까지 설명을 참고해서 작성 해 본다. 속성명 속성값 설명 display inline| block | inline-block | none | table-cell 안보이고, 공간 없어짐 visibility visible | hidden 안보이고, 공간 남음 opacity 0~1까지의 수 0 : 안보이고, 공간 남음 | 0이상 : 보이고, 공간 남음 overflow hidden | auto | scroll | visible 요소 안의 내용..
더보기
display 속성
※ display 속성은 요소의 성격을 변경할 수 있는 속성이다. 주로, 블록요소를 인라인요소로 혹은 인라인요소를 블록요소로 변경할 때 사용하게 되며, 그 외에도 가시속성으로 안보이게 처리할 수도 있으며, 최근에는 레이아웃을 적용하는 속성으로도 사용하게 된다. 속성값 설명 inline 한줄만 차지하며 공간의 크기가 내부의 요소 크기로 한정됩니다. 따라서 옆에 남는 공간에 다른 요소가 올 수 있다. 즉 요소의 너비도 해당 라인 전체가 아닌 해당 요소의 내용만큼만 차지한다. inline속성을 갖고 있는 요소의 대표적으로는 span, a, img... block 블록속성은 전체 행을 차지하게 되는 특징을 갖고 있다. p, div, h1~h6, p, form, header, section, footer... f..
더보기
semantic tag
시맨틱 요소는 브라우저와 개발자 모두에게 각 영역에 태그로 그 의미를 부여한다. 비의미론적 태그 : , - 내용에 대해 아무 의미가 없는 공간만 분할해 주는 태그이다. 의미론적 태그 : , , - 내용을 명확하게 정의한다. 시맨틱 태그는 태그 자체가 보여주는 기능은 없지만, 영역에 대한 의미를 명확하게 정의하는 태그로서, 블록요소이며, 아래와 같은 태그가 있다. 태그 설명 article 게시물, 기사, 컨텐츠내용을 정의 aside 좌우측에 들어갈 컨텐츠를 정의 details 상세설명을 정의 figcaption figure의 설명을 정의 figure 특별한 이미지, 도표, 사진 등 시각적 요소를 정의 header 상단에 로고, 제목요소 등의 내용을 작성 footer, address, header는 자식요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