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자바스크립트1-실행문 작성방법 1. 안에 실행문을 넣는다. 2. defer vs async 1) defer 속성은 페이지가 모두 로드된 후에 해당 외부 스크립트가 실행된다. 아래와 같이 작성. 2) async 속성이 명시된 경우 : 브라우저가 페이지를 파싱되는 동안에도 스크립트가 실행된다. 아래와 같이 작성. ================================= 3. 실행문은 ; 으로 마친다. 4. 입출력함수 작성하는 방법 See the Pen javascript_basic1 by LimsUIUX (@LimsUIUX) on CodePen. 더보기
Mozilla 개발자 블로그 https://developer.mozilla.org/ko/ MDN Web Docs MDN 웹 문서 사이트는 HTML, CSS, 및 웹 사이트와 프로그레시브 웹 앱을 위한 API를 포함한 오픈 웹 기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또한 Firefox 개발자 도구와 같은 Mozilla 제품을 위한 개발자 지향 문 developer.mozilla.org 웹문서 제작에 필요한 내용들을 공부 할 수 있는 사이트로, css, javascript 등의 속성들에 대해서 정리된 개발자블로그이다. 더보기
웹접근성을 위한 :focus 문서 상단에 본문내용으로 이동 푸터로 이동 위와 같이 메뉴를 작성한다. 이때 문서의 어딘가에는 id=contents, id=footer 속성을 가지고 있는 태그가 있어야 한다. CSS에서는 .skipnavi{position: absolute;left: 0;top: -50px; text-indent: -9999px;font-size: 0; width: 100%;z-index: 9999; } .skipnavi li a:focus, .skipnavi li a:active{ position: absolute;left: 0;top: 50px; display: block;width: 100%;padding:5px 0; text-align: center;text-indent: 0; font-size: 13px;fon.. 더보기
MS, 웹브라우저 IE 지원 종료 현재 브라우저 시장의 점유율에 변화가 진행중인지 오래 되었지만, 웹브라우저 IE가 종식선언을 하면서 마이크로 소프트의 엣지가 그 바톤을 넘겨 받을 수 있는지, 현재의 브라우저 점유율 중 가장 높은 크롬이 고공행진을 계속 하게 될 지 지켜봐야 할 일이다. 웹브라우저의 대명사로 통하던 마이크로소프트(MS)의 인터넷익스플로러(IE)가 출시 사반세기 만에 사실상 퇴출 수순을 밟게 됐다. MS는 2015년 내놓은 웹브라우저 마이크로소프트 에지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IE는 한때 시장을 장악했지만 2010년대 들어 오픈 소스 기반의 구글 크롬, 모질라 파이어폭스 등이 더 편리한 기능을 내놓으면서 왕좌를 내주게 됐다. Source: StatCounter Global Stats - Browser Market Share 더보기
아마존 허니코드 아마존에서 코드 없이 짜는 프로그램 개발도구를 출시 발표했다. 정보저장의 크기는 10만개 열까지 가능하며, 앱설계의 데이터 통합관리도 지원한다고 한다. 스프레드시트와 수식에 대해 이미 잘 알고 있다면 시트, 테이블, 값 및 수식에 대해 알고 있는 모든 것이 여전히 적용된다. 몇 가지 일반적인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템플릿이 포함되어 있다. 웹개발 관점에서 본다면, 웹서비스에 필요한 기본적인 회원가입, 게시판, 장바구니, 신용카드 연동 등의 서비스가 가능한건지, DB입출력을 엑셀처럼 사용가능하게 한다면, 당연히 웹서버는 아마존일데고, 기본적인 CRUD기능을 넣은 템플릿을 서비스 한다면 기존의 XE, 그누보드 등의 여타 CMS와 다를바가 어떤 것이 있는지 궁금하다. 웹개발이 아닌 다른 관점에서 본다면 어떤 프로.. 더보기
디자이너가 알아야 할 passive income 전략 누구든 부지런해야 한다. 역시 살아 숨쉬는 동안은 부지런히 움직이는 방법이 최고라는 진리. 템플릿도 만들어 배포하고, 다양한 인쇄물도 제작하고, 또 나에게 있는 전문 지식들을 많은 사람들에게 나누어 공유하는 일들도 게을리 하지 않는것은 두말하면 잔소리일것이다. https://dribbble.com/stories/2020/02/27/passive-income-for-designers?utm_campaign=2020-03-10&utm_medium=email&utm_source=courtside-20200310 5 passive income strategies every designer should consider It's never a bad idea to diversify your income source.. 더보기
AI Tools for Designers 점점 사용하기 간편해지고 좋아지는 것일까 의문이기는 하지만, 시간을 줄여주고, 더 좋은 효과들을 많은 고민과 연구 없이 사용하게 될 수 있는게 풍부해지고 있다는 점은 분명하다. https://digitalsynopsis.com/design/ai-tools-for-designers/ Top 8 AI Tools For Designers Artificial Intelligence can help designers boost their creativity by providing them with material and inspiration. It can also speed up workflow by taking care of boring and tedious tasks that require a lot of t.. 더보기
git, git Hub -0. 정의 https://github.com/ Build software better, together GitHub is where people build software. More than 40 million people use GitHub to discover, fork, and contribute to over 100 million projects. github.com contribution : 오픈소스에 참여해 수정하거나 운용할 수 있는 오픈소스 활동이다. 이는 왜 하는 것일까? 어떤 프로젝트를 운용하고 기여하는지를 기록으로 남길 수 있기 때문에 개발자들이 많이 올려두기도 한다. 오픈소스를 다른사람들이 평가하고 개선시킬 수 있는 이유가 있기 때문에 많이 사용하고 있다. commit : contribution.. 더보기
UI/UX 2020 Trend https://uxdesign.cc/8-ui-ux-design-trends-for-2020-68e37b0278f6 (자료출처) 8 UI design trends for 2020 The rapid growth of technology influences design trends every year. As designers we need be aware of the existing and upcoming design… uxdesign.cc Welcome to Swiggy by Saptarshi Prakash Onboarding animations — Virgil Pana Menu toggle close animation — Aaron Iker Tab bar active animation — Aaron Ike.. 더보기
UI디자인 개발프로세스 - 브랜딩2 : 서울여행 UI/UX의 개발은(여기서는 UI개발위주로 함) PC,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스마트 디바이스로 제한하는 것을 전제로 언급하며, 사용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그 화면을 설계하는 것이 주요 활동이며, 디자인적 구현과 검증과정을 거쳐서 개발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일반적인 개발 프로세스는 [사용자의 문제인식 → 문제 해결점 정의 → 개발과 산출물 도출 → 사용성 테스트 → 수정보완] 과정을 거치는 형태로 패턴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문제 인식 : 발산단계의 활동으로 조사, 분석, 발상과 관련한 활동을 수행하며 시장조사, 장단점 분석, 개선사항을 정리하여 추가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한다. 문제 해결점 정의 : 탐색단계에서 도출한 사용자에 관련한 정의로 사용성에 대한 목표를 정의하고, 마케팅 관련 분석을 하여.. 더보기
UI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 - 브랜딩1 : 뉴트로페스티발 UI/UX의 개발은(여기서는 UI개발위주로 함) PC,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스마트 디바이스로 제한하는 것을 전제로 언급하며, 사용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그 화면을 설계하는 것이 주요 활동이며, 디자인적 구현과 검증과정을 거쳐서 개발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일반적인 개발 프로세스는 [사용자의 문제인식 → 문제 해결점 정의 → 개발과 산출물 도출 → 사용성 테스트 → 수정보완] 과정을 거치는 형태로 패턴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문제 인식 : 발산단계의 활동으로 조사, 분석, 발상과 관련한 활동을 수행하며 시장조사, 장단점 분석, 개선사항을 정리하여 추가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한다. 문제 해결점 정의 : 탐색단계에서 도출한 사용자에 관련한 정의로 사용성에 대한 목표를 정의하고, 마케팅 관련 분석을 하여.. 더보기